고객센터

공지뉴스

Home>고객센터>공지뉴스

‘낙동강 녹조 소독’ 수돗물 마시기 불안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18-02-02 17:46 조회3,851회

본문

상수원에 녹조가 발생하면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커질 수밖에 없다. 설마 했던 우려가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주민들에게 현실화되고 있다. 낙동강 녹조 심화로 정수과정에 염소 투입이 늘어나면서 발암성을 띤 소독 부산물인 총트리할로메탄 수치가 급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인에겐 생소한 총트리할로메탄은 염소와 자연유기물이 반응할 때 생긴다고 한다. 지난 1974년 미국에서 수돗물을 마신 사람이 암으로 사망하면서 그 원인으로 지목된 것이 바로 이 발암물질이다. 낙동강 물에 의존하는 인구는 부산, 창원, 김해, 양산, 함안 등 5개 지역에 줄잡아 540만명이나 된다. 주민들의 건강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도 총트리할로메탄에 대해 환경부와 전문가들의 입장이 서로 달라 답답한 노릇이다. 환경부는 먹는 물 수질 기준보다 낮게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를 관리하고 있고, 휘발성이 강해 끊인 물은 안심하고 마셔도 된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농도와 무관하게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하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말을 액면 그대로 믿는다 하더라도 뜨거운 물로 샤워할 경우 수증기 형태로 피부나 호흡기에 노출될 수 있고, 장기간 섭취 시 악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없지 않다. 사정이 이러니 수돗물 음용률이 5%대에 불과한 현실에서 수돗물에 대한 불신감이 가속화될 게 뻔하다.

낙동강이 녹조로 범벅이 된 지 오래됐다. 물고기가 씨가 말라 간다는 외침도 계속되고 있다. 문제는 녹조발생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 급선무다. 전문가들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보 설치로 물 흐름이 정체되면서 낙동강이 호수처럼 변해버린 탓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악화일로인 녹조를 정수처리를 한답시고 염소 소독에만 계속 의존할 순 없다. 근본적인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 경남 9개 정수장과 대구 2개 정수장의 올 8월 평균 총트리할로메탄의 농도가 한강 37개 정수장보다 2배 가까이 높다고 한다. 영남권 주민이 수도권 주민보다 발암물질을 더 마시는 현실을 정부는 외면해선 안 될 일이다.

경남신문 사설 

 

 

Hosting by AD COMMUNICATION.